꾸준히 하고싶은 개발자

변수와자료형 본문

python/chap02

변수와자료형

프라우스 2022. 9. 5. 22:32

변수의 값

파이썬에서는 출력함수는 print()으로 사용되며 입력함수는 input()이다.

a=7

b=5

print(a+b)

12이다. a의변수값과 b의 변수값을 더한 값을 print(a+b)이다.

a=7

b=5

print(”a+b”)#”a+b”값을 화면그대로 출력하라.

a+b인 문자열이 생성된다. 그이유는 쌍따음표은 문자열 쓸때 사용된다.

변수의 값에 넣는 과정을 프로그래밍에서는 할당(assignment)이라고한다.

변수와 메모리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는 어떠한 값을 저장하는 장소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변수에 값이 저장되는 공간을 메모리라고 한다. 변수에 값을 넣으라고 선언하는 순간, 물리적으로 메모리 어딘가에 물리적인 공간을 확보할 수있게 운영체제와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협력하여 메모리 저장 위치를 할당한다. 이 위치를 메모리 주소라고 한다.

변수의 선언

1.알파벳, 숫자, 밑줄( _ )로 선언할 수 있다. 2.변수명은 의미 있는 단어로 표기하는 것이 좋다. 3.변수명은 대소문자가 구분된다. 4.특별한 의미가 있는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다.

메모리의 공간

하나의 변수를 메모리에 저장할 때, 그 변수의 크기만큼 공간(일정한 용량)을 할당받는다. 이진수 한 자리를 비트(bit)라고 하며, 8개의 비트는 1바이트(byte), 1,024바이트는 1킬로바이트(kilobyte, KB), 1,024킬로바이트는 1메가바이트(megabyte, MB)이다. 이러한 개념을 메모리 공간이라고 한다.

기본자료형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불린형(논리형)으로 구성된다.

  1. 정수형

정수형(integer type) : 자연수를 포함해 값의 영역이 정수로 한정된 값이며

파이썬에서는 인터프리터가 알아서 메모리 영역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며 메모리 공간은 변수의 자료형 컴퓨터 시스템 의 타입(32bit또는 64bit)에 따라 다르다

  1. 실수형

실수형(floating-point type) : 소수점이 포함된 값이다.

파이썬 인터프리터에서는 정수형이라도 ex)9.0으로 입력하면 인터프리터는 실수형이라고한다.

  1. 문자형

문자형(string type) : 값이 문자로 출력되는 자료형.

파이썬에서는 따음표(“”와 ’ ’)들어간 정보는 문자형데이터라고한다.

4.불린형

불린형(boolean type) : 논리형으로, 참(True) 또는 거짓(False)을 표현할 때 사용.

만약에 값이 true은 참을 의미하고 컴퓨터에서는 1을 뜻하고 false는 거짓을 의미하고 컴퓨터에서는 0을 의미한다.

유형자료형설명예선언형태

수치형 정수형 양수와 정수 1,2,3,4 data=1
수치형 실수형 소수점이 포함된실수 10.2 -932.9 data=9.0
문자형 문자형 따음표에 들어가 있는 문자형 abc, a20abc data=’abc’
논리형 불린형 참 또는 거짓 True false data=True data=false
  1. 간단한 연산

연산자는 +,-,*,/을 같은 기호

피연산자는 연산자에 의해 계산되는 숫자

제곱승

파이썬에서는 제곱승을 구하는 연산자는 2개의 발표 기호(**)이다. 3의5승구하라 하면

3**5 243 이다.

print(33333)243 이다

나눗셈의 몫과 나머지 산출 연산

파이썬에서는 몫을 반환 하는 연산자는 2개의 빗금 기호(//)이며 나머지 연산자는 백분율 기호%이다.

ex)7//2 을 나누면 몫은 3.5이고 7%2을 나눈 나머지는 1을 화면에서 출력한다.

증가연산와 감소연산

a=1 # a변수에 1을 할당

a=a+1. # a에 1를 더한 후 그값을 a에 할당

print(a) #a을 출력

2가 나온다.

a+=1. #a 증가연산

print(a) #출력

3이나온다.

a=a-1 # a에서 1을 뺀 후 그값을 a에 할당

a-=1 a 감소 연산

print(a) a 을 출력

1

자료형 변환

float( ) 함수 : 정수를 실수형으로 변환해 주는 함수.

a=10일때

print(a)

int 10을 출력함

a= float(10)

print(a)

10.0

a=10

b=3

print(a/b)

3.33333333을 출력

숫자형과 문자형 간변환

문자형으로 선언된값도 정수형이나 실수형으로 변환 할 수있다. 물론 그반대로 가능하다.

a=’76.3’

b=float(a)

print(a)

76.3

print(a+b)

a와 b을 더하면 문자열과 숫자열의 덧셈이 불가능하며 에러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