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 하고싶은 개발자

파이썬 스타일 코드 본문

카테고리 없음

파이썬 스타일 코드

프라우스 2022. 9. 14. 20:59

파이썬 스타일 코드(pythonic code) : 파이썬 스타일의 코드 작성 기법
특별한 문법이 아니라, 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문법들을 활용하여 코딩하는 것이 바로 파이썬 스타일 코드이다.

 

스타일 코드를 사용해야하는 이유

파이썬 스타일 코드가 생긴 이유는 바로 파이썬의 철학 때문이다. 파이썬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시간이 컴퓨터의 시간보다 더 중요하다.’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 그러다 보니 코드상으로 사람이 해야 하는 일을 최대한 줄이면서 같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문법 체계를 가지고 있다.
유명한 오픈소스부터 이 책에 있는 다양한 예제 코드까지 파이썬 스타일 코드로 작성된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파이썬 스타일 코드를 사용하면 다른 사람이 작성한 코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파이썬 스타일 코드가 익숙해지면 코드 자체도 간결해지고 코드 작성 시간도 줄일 수 있다.

문자열 의 분리: split()  함수  : 문자열의 값을 특정 값을 기준으로 분리하여 리스트 형태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split( ) 함수를 사용하여 리스트형의 변수로 변환하였다. split( ) 함수 안에는 매개변수로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았다. split( ) 함수는 텍스트를 아주 간단히 리스트 형태로 나누어 분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문자열 의 결합 :join()함수 : 문자열로 구성된 리스트를 합쳐 하나의 문자열로 반환할 때 사용한다. 
join( )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구분자.join(리스트형)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리스트 변수에는 색이름이 문자열의 요소로 들어 있다. 이 변수에 join( ) 함수를 적용하면 각 색이름이 붙어 하나의 문자열의 값으로 반환된다. 만약 색깔 사이에 다양한 구분자를 넣고 싶다면 join( ) 함수 앞에 ‘,’나 ‘-’ 등을 추가하면 된다. 

 

리스트 컴프리헨션(list comprehension)의 기본 개념은 기존 리스트형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새로운 리스트를 만드는 기법이다. 리스트와 for문을 한 줄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리스트값에 인덱스를 붙여 출력: enumerate( ) 함수

enumerate( ) 함수는 리스트값을 추출할 때 인덱스를 붙여 함께 출력하는 방법이다

 

리스트값을 병렬로 묶어 출력: zip( ) 함수

zip( ) 함수는 1개 이상의 리스트값이 같은 인덱스에 있을 때 병렬로 묶는 함수이다.

같은 인덱스에 있는 숫자를 추출하여 sum( ) 함수를 적용하면 각각의 값을 더해 출력할 수 있다. 앞서 벡터-스칼라 곱셈을 봤는데, 이 기법으로 벡터 덧셈이나 매트릭스 덧셈 등을 유용하게 만들 수 있다.

실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