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모두연구소
- 오존석의 생존코딩
- #패스트캠퍼스 #내일배움카드 #국비지원 #K디지털기초역량훈련 #바이트디그리 #자바인강
- ㅇ
- 생존코딩
- 오름캠프
- 오준석의생존코딩
- 모두의 연구소 # 오준석의생존코딩# 오름캠프
- 오름캠프플러터
- Tag #패스트캠퍼스 #내일배움카드 #국비지원 #K디지털기초역량훈련 #바이트디그리 #자바인강
- 모두의연구소
- 오준석의 생존코딩
- 패스트 캠퍼스
- 모두의연구소 오준석생존코딩 오름캠프
- 플러터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34)
꾸준히 하고싶은 개발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NTmgQ/btrUzlb0S04/as4aj8iHOF9IAf3hWq1nTK/img.png)
데이터 입력받기 input(): 입력함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함수 ex) for example = input() 할당연산자를 (=) 오른쪽부터 실행된다. Input 함수 실행시 , 입력을 기다린다.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Input 함수 자리에 데이터 가 들어간다. 문제1 문제2 자료형 타입 입력함수는 기본설정타입으로는 string(str) 으로 타입이 되어있다. 그래서 int으로 형변환하는 법이다. int(데이터)으로 해주면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Ljnx/btrR3C7tfVd/b5KpsiipnDDhGMCOAfpBk1/img.png)
BoardVO 입니다. mysql 입력하기전 mysql 입력후 board mapper xml을 만들어서 입력해줍니다. 업데이트 구문은 행의 수 증가 시킵니다. board mapper에 입력해줍니다. board service 인터페이스 에 함수 정의한다. board serviceImpl 클래스에 인터페이스를 추가해서 만든후 mapper1.view_count(bno)을 리턴해줍니다. controller에 service.view_count(bno);입력해줍니다. 입력후 계시판 jsp에 아래와 같이 입력해줍니다. 는 을 사용해서 써줬고 컨트롤러 에서 가져온 값을 jsp에 입력한다. 서버 돌려보면 입력전 상세보기 했을때 조회수 1씩증가 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vt1dd/btrQuLYwcWr/ICoicUo5Ev6LZtfeKFnVq0/img.jpg)
winscp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oracle jdbc jar를 다운받아서 스쿱 경로에 라이브러리에 넣어준다 jdbc:oracle:thin:서버주소:oracle 포트번호:xe --uesrname : 오라클아이디 --password :비밀번호 --table: 데이터넣어줄 테이블 이름 주의할점 데이블 써줄때 꼭 대문자로 써야 인식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EWPe/btrQrtSkFOk/8T6Nggo1e8TUQcHXYKtZu0/img.jpg)
스쿱을 이용해서 mysql 데이터넣는다 HDFS에 저장된 데이터 형식에 맞게 mysql에서 데이블을 만들기 mysql-connector-jar파일을 경로에 맞게 넣어준다 jdbc: mysql :// 서버 :포트번호 --username --password --table mysql 명령어 을 통해서 테이터 내보낸 데이터를 mysql를 통해서 확인하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c1SGr/btrQlIHWqcv/xkn1u3mlwi2BP6ghNitKTk/img.jpg)
-RDBMS에 있는 데이터를 특별한 전처리 없이 곧바로 HDFS 에 적재하거나 반대로 HDFS에 저장된 데이터를 RDBMS로 제공해야 경우 가있다. -RDBMS와 HDFS사이에서 데이터를 편리하게 임포트 하거나 익스포트해주는 소프트웨어가 스쿱(Sqoop)이다. 스쿱은 지난 2009년 공개되어 2012년 아파치 최상위 프로젝트로 승격됐다. 스쿱은 두가지 버전이 있다 스쿱1은 CLI기반으로 스쿱 명령을 실행하는 스쿱1 클라이언트 버전이다 스쿱2는 스쿱 서버를 두고 스쿱 클라이언트 가 API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스쿱1을 확장한 서버 버전이다. 스쿱 아키텍처 스쿱1 아키텍처는 스쿱의CLI로 임포트 익스포트 명령을 하둡에 전달하면 맵 태스크가 병렬로 실행되어 외부 데이터베이스 와 HDFS 사이에서 대량의 데이터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4VY0U/btrQrEzfOKU/420oIhxt9BTfeSVhfxu7kk/img.jpg)
머하웃 -하둡 생태계에서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해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는툴이다. -머신러닝을 다루는 프레임워크는 머하웃 말고도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해 오고있다. -가장 유명한 R을 비롯해 래피드마이너(RapidMiner) 웨카(Weka) 파이썬 진영의 사이킷런(scikit-learn), 텐서플로우(TensorFlow)등이 이에 해당한다. -대규모의 데이터셋을 분석할 수 있게 설계되지 않았고 분산 환경에서 실행하기 어렵다 -머하웃은 하둡에서 분산 머신러닝을 하기위해서 2008년 검색엔진 루씬의 서브 프로젝트로 시작됐고 하둡의 분산 아키텍처를 바탕으로 텍스트 마이닝 군집 분류 등과 같은 머신러닝 기반 기술 내재화되면서 2010년 4월 아파치 최상위프로젝트로 승격됐다. 머하웃 아키텍처 -머하웃은 하둡의 분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ZcbI/btrQasLZIv0/GoZIRZul9T8fKEkX7as530/img.jpg)
제플린 -대용량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탐색 및 분석하기 위해서 대용량 데이터셋을 빠르게 파악하고 이해하기 위한 분석 및 시각화 툴이 필요하다. - 이와 관련해서 가장 잘 알려진 프로그램이 R과 파이썬이다 하지만 R의 경우 하둡의 분산파일을 직접 참조 할 수없고 분산 병렬처리가 어려워하둡의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RHive RHadoop RHipe같은 도구로 HDFS 와 직접 연결해 병렬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있지만 복잡도가 높아지고 안정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추가 비용이 발생되서 제플린을 만들었다. -제플린은 국내 스타트업 기업인 NFLaps에서 2013년 부터 주도하고 있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로서 2014년 12월 아파치재단에 인큐베이팅 됐고 2016년 5월 아파치최상위 프로젝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