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오준석의생존코딩
- 모두의연구소
- 플러터
- 오름캠프플러터
- 모두의 연구소 # 오준석의생존코딩# 오름캠프
- Tag #패스트캠퍼스 #내일배움카드 #국비지원 #K디지털기초역량훈련 #바이트디그리 #자바인강
- #패스트캠퍼스 #내일배움카드 #국비지원 #K디지털기초역량훈련 #바이트디그리 #자바인강
- 모두연구소
- ㅇ
- 패스트 캠퍼스
- 생존코딩
- 오준석의 생존코딩
- 오름캠프
- 모두의연구소 오준석생존코딩 오름캠프
- 오존석의 생존코딩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34)
꾸준히 하고싶은 개발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IALfp/btrL4m3DeY4/ugtEvs1dNfK8lr62umISn0/img.png)
자료구조(data structure) : 특징이 있는 정보를 메모리에 효율적으로 저장 및 반환하는 방법으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식이다. 특히 대용량일수록 메모리에 빨리 저장하고 빠르게 검색하여,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실행 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해 준다. 스택(stack) : 자료구조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간단히 표현하면 ‘Last In First OutLIFO’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마지막에 들어간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오는 형태로, 데이터의 저장 공간을 구현하는 것이다. 아래 그림에서 4, 10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저장 순서가 바뀌는 형태를 스택 자료구조(stack data structure)라고 한다. 스택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푸시(push..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UQOf8/btrLzDLtfGD/WGDRDW4EVjJrsa2KLP7880/img.png)
문자열 문자열은 시퀀스 자료형(sequence data type)이다. 문자열 과 메모리 공간 일반적으로 문자열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영문자 한 글자당 1바이트의 메모리 공간을 사용한다. 다음과 같은 코드로 문자열이 저장된 공간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컴퓨터 공학자들은 이러한 문자를 처리하기 위해 이진수로 변환되는 표준 규칙을 만들었다. ASCII, CP949, MS949, UTF-8 등 이러한 규칙을 인코딩(encoding)이라고 한다. 컴퓨터는 문자를 직접 인식하지 못한다. 컴퓨터는 문자를 숫자로 변환하여 인식한다. 사람들은 문자를 숫자로 변환하기 위한 규칙을 만들었다. 일반적으로 이 규칙은 1개의 영문자를 1바이트, 즉 2의 8승(28) 정도의 공간에 저장될 수 있도록 정하였다문자열인덱싱 리스트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3YGlx/btrLvCNLJrF/VCOVn1F7k8Rk83XWVsKvq0/img.png)
함수 함수(function) : 어떤 일을 수행하는 코드의 덩어리, 또는 코드의 묶음 함수의 장점 ① 필요할 때마다 호출 가능 ② 논리적인 단위로 분할 가능 ③ 코드의 캡슐화 함수의선언 def : ‘definition’의 줄임말로, 함수를 정의하여 시작한다는 의미이다. 함수 이름 : 함수 이름은 개발자가 마음대로 지정할 수 있지만, 파이썬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규칙을 사용한 1)소문자로입력한다. 2)띄어쓰기를 할 경우에는 _기호를 사용한다 ex)save_model 3)행위를 기록하므로 동사와명사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ex)find_number 4)외부에 공개하는 함수일 경우, 줄임말을 사용하지않고 짧고 명료한 이름을 정한다. 매개변수(parameter) : 함수에서 입력값으로 사용하는 변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bdm6/btrLvI1xBaA/LL7NRSRO69HlDhoZJ6bCFK/img.png)
조건문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 조건에 따라 특정 동작을 하도록 하는 프로그래밍 명령어이다. 파이썬에서는 조건문을 사용하기 위해 if, else, elif 등의 명령 키워드를 사용한다. if 뒤에는 참과 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 조건문이 들어가야 하고, 조건문이 끝나면 반드시 콜론(:)을 붙여야 한다. 들여쓰기를 사용하여 해당 조건이 참일 경우 수행할 명령을 작성한다. if의 조건이 거짓일 경우 else문이 수행된다. else문은 생략해도 상관없다. 만약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따로 처리해야 한다면 else문을 넣으면 된다. 중간고사 30% 기말고사30% 레포트20% 출석점수20% 라고 했을때에 If문을 이용해서 총점 등급이 나누어지는 If문이다. 90점일때 A학점 80점일때..
화면 입출력과 리스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퓨터에 명령을 입력할 때 사용하는 환경을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라고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와 CLI(Command Line Interface) 가 있다. 일반적으로 GUI 환경에서는 아이콘을 하나 클릭하면 그에 대한 명령이 실행된다. CLI는 마우스의 클릭이 아닌 키보드만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환경이다. input( ) 함수: 표준 입력 함수로, 사용자가 문자열을 콘솔 창에 입력할 수 있게 해 준다. 사용자로부터 키를 입력받은 후 표준제중으로 환산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 출력예> 키를 입력해 주세요: 170 입력하는 170cm에 대한 표준체중은 63kg입니다. 환산방법((키-1..
변수의 값 파이썬에서는 출력함수는 print()으로 사용되며 입력함수는 input()이다. a=7 b=5 print(a+b) 12이다. a의변수값과 b의 변수값을 더한 값을 print(a+b)이다. a=7 b=5 print(”a+b”)#”a+b”값을 화면그대로 출력하라. a+b인 문자열이 생성된다. 그이유는 쌍따음표은 문자열 쓸때 사용된다. 변수의 값에 넣는 과정을 프로그래밍에서는 할당(assignment)이라고한다. 변수와 메모리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는 어떠한 값을 저장하는 장소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변수에 값이 저장되는 공간을 메모리라고 한다. 변수에 값을 넣으라고 선언하는 순간, 물리적으로 메모리 어딘가에 물리적인 공간을 확보할 수있게 운영체제와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협력하여 메모리 저장 위치를 할당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GBh29/btrGh0lkIRm/k3liheHM1DZZ4sc1CacCpk/img.png)
객체지향 객체 지향이란 1970년대에 말이 정의가 됬으며 이는 50여년이 넘는 역사을 가지지만 이전에는 C언어 처럼 실행하고자 하는 순서대로 명령어를 입력해서 실행하는 절차지향을 주로 이뤘고 이런 코딩 방식을 절차지향 언어라고 한다. 이때에는 프로그램의 단위가 크지 않았고 대체적으로 심플한 로직을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결과를 얻는데 그쳤지만 점점 컴퓨터의발전과 프로그램밍 발전으로 인해서 프로그램의 복잡도 증가하고 이에 들어가는유지보수 개발기간, 다양한 부분에서 비효율이 발생 하였습니다.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기위해 선택한 방법이 효과적인 개발방식을 선택하게 되었고 이는 이전에 쓰던 개발방식에서 벗어나서 객체지향의 특성인 추상화 은닉 상속 인테페이스 재사용등 여러곳에서 객체지향을 개발하기 시작한다. 객체지향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IwT6b/btrFShuUwfM/tQx2EizRdoK5oNKaLTbgek/img.png)
자바의 자료구조(Data Structure)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많은 데이터를 메모리상에서 관리하는 여러가지 구현방법이 있다. 알고리즘의 기반된 효율적이고 자료구조가 좋다. 자료구조의 효율성에 따라 프로그램에 대한 수행속도에 밀접하게 나타난다. 좋은 자료구조는 효율성이좋아서 빨리 수행이되며 안좋고 더러운 자료구조는 수행능력이 떨어지며 여러 자료구조중에서 구현하려는 프로그램에 맞게 최적한 자료구조를 활용해야되서 자료구조의 이해가필요하고 중요하다. 자료구조 배열 열결리스트 스택 큐등 있으며 선형구조이다. 배열 (Array) 100개면 1000개 메모리를 정해두고 할당받지만 배열 선형으로 자료를 관리 정해진 메모리크기에 메모리를 먼저 할당 받아 사용하고,순차적으로 데이터를 빨리 받거나 호출할수있다. 왜냐하면 ..